git 3

[Git] 풀 리퀘스트와 포크 (pull request, fork)

1) 풀 리퀘스트 앞서 머지는 브랜치 간의 병합 과정에서 충돌의 위험을 충분히 살피지 못한다고 말했다. master 브랜치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풀 리퀘스트를 사용한다. 풀 리퀘스트는 말 그대로 레포지토리의 누군가가 master 브랜치에 대한 병합을 요청하면, 레포지토리의 소유자가 충돌 사항에 대해 살펴본 후 승인을 해주는 방식이다. 풀 리퀘스트를 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1. 동일 레포지토리의 다른 브랜치에서 풀 리퀘스트를 보내는 것 2. 포크(fork)를 통해 다른 레포지토리에서 풀 리퀘스트를 보내는 것 2) 브랜치에서 풀 리퀘스트 보내기 지난 시간에는 로컬 브랜치만을 생성했다. 오늘은 Github 상에서 풀 리퀘스트를 해야만 하기에 레포지토리에도 동일한 브랜치를 만들어 주어야만 한다. add..

[Git] 레포지토리와 푸시,클론,풀(push,clone,pull)

1) 원격 저장소 앞서 만든 로컬 저장소는 나 혼자서 버전 관리를 할 때만 활용이 가능하다. 다른 이들과의 협업을 위해서는, 원격의 저장소가 필요한데 이를 레포지토리(Repository)라고 한다. Github에 접속하여 new repository를 통해 새로운 레포지토리를 만들 수 있다. 레포지토리의 이름과 설명도 정할 수 있다. 2) 레포지토리에 올리기 (push) 생성한 레포지토리에 들어가보면 레포지토리의 주소를 복사해 올 수 있다. 이제 로컬저장소와 원격저장소를 연결할 것이다. 로컬 저장소에서 git bash를 연 후에, git remote add origin (레포지토리 주소) 복사해온 주소를 이용해 적어준다. 이후 git push origin master 를 통해 원격저장소에 올릴 수 있다. ..

[Git] 로컬 스토리지

1. 버전 관리 프로그램을 개발, 특히 팀 단위로 개발하다 보면 버전 관리가 상당히 중요해진다. 따로 만든 코드를 합치거나, 서로의 코드를 수정하는 등 다양하고 복잡한 작업들을 하다 보면 코드들이 구분이 안되거나, 오류를 되돌릴 수 없어지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버전 관리 시스템이 Git이다. 그리고 Git을 호스팅해주는 사이트가 바로 Github이다. 추후의 협업 프로젝트들을 위해 Git에 대해 공부하고자 한다. 아래 내용을 위해선 Github.com의 가입과 git bash의 설치가 필요하다. 2. 로컬 저장소 일단 내 컴퓨터 내에서만 버전 관리를 한다고 생각하고 로컬저장소에서 버전 관리를 해보겠다. 먼저 git bash를 실행해 'git'이라는 명령어를 실행해 기본 명령어에 대한 안내가 나오는 지 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