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원격 저장소 앞서 만든 로컬 저장소는 나 혼자서 버전 관리를 할 때만 활용이 가능하다. 다른 이들과의 협업을 위해서는, 원격의 저장소가 필요한데 이를 레포지토리(Repository)라고 한다. Github에 접속하여 new repository를 통해 새로운 레포지토리를 만들 수 있다. 레포지토리의 이름과 설명도 정할 수 있다. 2) 레포지토리에 올리기 (push) 생성한 레포지토리에 들어가보면 레포지토리의 주소를 복사해 올 수 있다. 이제 로컬저장소와 원격저장소를 연결할 것이다. 로컬 저장소에서 git bash를 연 후에, git remote add origin (레포지토리 주소) 복사해온 주소를 이용해 적어준다. 이후 git push origin master 를 통해 원격저장소에 올릴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