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딩 기록(~22.01)/Unity 공부노트

내 리소스는 내가 만들어, 게임 제작을 위한 도트(픽셀아트)찍기 A to Z

문과 해달 2021. 3. 15. 02:04

1인 개발이 가지는 어려움이 상당히 많은데요.

프로그래밍 설계, 밸런싱, 사운드, 기획 모든 부분에서 시간과 노력이 부족하지만,

그 중 특히 전문성이 여력히 부족한 것이 바로

그래픽, 비주얼적인 소스입니다...

 

디자인적인 감각도 있어야 하지만

디자인 툴을 다룰 줄 알면서 태블릿 등 장비 역시 필요하며

 

그렇다고 유니티 에셋스토어같은 곳에서 찾자니

내가 원하는 소스를 항상 찾기란 쉽지 않습니다.

유니티 에셋스토어

 

 

그래서 많은 인디개발자 분들이 선택하시는 방법이 2D 픽셀 아트를 직접 찍는 방법입니다.

 

포토샵이 있으신 분들 기준입니당

 

 

1. 파일 생성

 

 

포토샵과 픽셀 아트에 지식이 전무한 분들은

어떻게 픽셀 아트를 시작할지도 막막하실텐데요

ctrl+N으로 새 파일을 만들면 이미지 사이즈를 정할 수 있습니다.

센티미터나 인치, 픽셀 등을 단위로 가로,세로를 정할 수 있습니다.

 

픽셀아트는 기본적으로 32*32 픽셀, 64*64픽셀 등 

정사각형 형식으로 만드는 데요.

 

픽셀이 클수록 당연히 복잡하고 섬세한 표현이 가능합니다.

 

감이 안잡히신다면

구글에 32*32 pixel art, 64*64 pixel art 등 검색하셔서

둘러보시면 사이즈가 얼마나 적당할지 정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 툴 선택

 

 

픽셀 아트를 찍을 때 사용하는 툴은 브러쉬 툴(Brush Tool)내의 

펜슬 툴(Pencil Tool)입니다.

 

브러쉬 크기를 1픽셀로 설정하면 1픽셀씩 도트를 찍을 수 있습니다.

 

 

펜슬 툴 다음으로 자주 쓰이는 툴은 스포이드 툴(Eyedropper Tool)과

페인트 툴(Paint Tool)입니다.

 

각각 해당 위치의 색깔을 가져오고, 비슷한 영역을 한번에 칠하는 툴입니다.

 

 

 

 

 

3. 그리기

 

 

저처럼 미술적 감각이 없는 채로 시작하신 분들은 환경이 갖춰줘도 원하는 그림을 그리기가 싶지않은데요.

이와 관해 배운 몇가지 원칙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테두리 선을 그린다.

 

픽셀 아트는 적은 픽셀로 형상을 표현해야 해서 선의 구분이 쉽지가 않습니다.

이를 보완하고, 특히 저희는 게임 내에서 비슷한 색깔의 배경 위에 소스가 위치할 수도 있기에

더욱 더 테두리 선이 있다면 직관적입니다.

 

 

2) 되도록 적은 색을 사용한다.

 

​역시 작은 사이즈의 이미지에 많은 색상이 들어가면 산만하고, 

직관적이지 못해서 적은 수의 색을 사용하는게 좋다고 합니다.

 

 

3) 명암 표현 시 명도, 채도 모두 변경

 

 

​그림의 퀄리티를 늘리기 위해서는 명암의 표현이 필수적입니다.

당연히 더 어둡거나 밝은 색을 사용해서 명암을 표현하는데, 이때 명도 뿐만 아니라

 

채도 역시 같이 움직인다면 더 색감이 좋아집니다.

 

다르게 설명드리자면 포토샵의 컬러 창에서 색을 바꿀 때,

대각선으로 이동하면 됩니다.

 

 

 

​4. 이미지 흐려짐 방지(중요)

 

 

막상 이미지를 완성하고 나서 유니티 에디터 상에서 오브젝트를 생성해보면, 크기가 너무 작은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오브젝트 크기를 억지로 키우면, 이미지가 흐려지는 현상이 발생하는데요.

 

물론 포토샵 내에서 이미지 사이즈를 언제나 수정할 수 있지만, 역시 같은 문제가 발생할 겁니다.

이미지 크기를 늘릴 때 자동으로 색들을 부드럽게 섞는데, 픽셀아트에선 그것이 독이 되는 겁니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입니다.

 

 

 

Edit - Image Size에서 원하는 픽셀 크기를 일단 정한 후, 아래의 리샘플을 눌러

Nearest Neighbor를 눌러주면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기억하셔야 할 건, 이미지 사이즈는 소스가 최종버전일 때 마지막으로 바꾸시는게 좋습니다.

수정을 위해 이미지 크기를 다시 줄이면 역시 그래픽 왜곡이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사실 언제 수정을 다시 해야할 지 모르기 때문에, 큰 사이즈의 이미지를 따로 저장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